“책(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동경과 욕망의 대상이었고 양식이어서, 끼니를 걸러가며 책을 구입하고 책장에 쌓여가는 책들을 바라보며 마음의 양식도 쌓여감을 자찬하며 희열을 느끼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책가도 (冊架圖) 는 작가 본인의 책(册)에 대한 욕망의 표현이다.
사진가 임수식은 책을 통해서 현대 문화를 읽는다.
그가 지난 전시로 보여주었던 작업들도 책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출발한다. 법정스님의 책 ‘무소유’ 한 권을 담은 사진은 잊을 수 가 없다. 임수식은 “ 책들이 가득한 책장을 만나게 되면 어김없이 숨막힘을 느낀다. 형형색색의 책들이 주인 나름의 질서대로 줄을 선 모습이라니, 소유하고 싶은 욕망이 목구멍까지 차오른다”고 말한다.
책가도 (冊架圖) 는 그것의 소유자에 대한 또 다른 형태의 Portrait 다.
임수식의 작업은 조선후기 회화의 표현양식 중 하나인 민화의 책가도 (冊架圖)* 를 사진으로 표현한다.
그의 책가도 작업은 다양한 사람들의 책장들을 촬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책장의 생김새는 비슷하다. 하지만, 그 주인의 취향과 직업에 따라 그 속에 배열되어있는 책들은 너무나 다양하다. 또, 책장 속의 책과 문방구들, 소유자의 관심에 따라 장식되어있는 물건들은 다양한 이야기와 변화의 요소가 내제되어 훌륭한 시각적 요소를 제공한다.
작가가 말하는 책가도(冊架圖)의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특유의 원근법이다. 사실 전통 책가도의 이미지는 사진적 시각으로는 만들 수 없는 이미지이다. 그래서 작가는 해체와 재구성의 과정을 거친다. 이미지의 원근법적인 문제만의 해결을 원한다면 부분촬영에 이은 포토샵과 같은 디지털의 이기를 활용하여 극복 할 수 있겠지만, 작가는 손수 하나하나 바느질을 이용하여 엮는 방법을 선택하여 조각보의 아름다움을 책가도 에 담아낸다. 조각조각 모아져서 만들어지는 조각보처럼, 오랜 시간 한 권 한 권 모여 가득 채워진 책장처럼, 임수식의 작품들은 절대적인 시간을 함유한 각각 세상에서 하나 밖에 없는 존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문화는 학문, 예술, 종교,·도덕, 법률, 관습 등 인간의 내적 정신활동의 복합 총체라고 할 때 임수식의 책가도 작업은 다분히 문화적이다. 각각의 책들이 해체와 재구성을 거쳐 책가도로 완성되는 것처럼 문화도 각자의 예술의 형태, 삶의 형태가 모여 바느질처럼 엮이고 어우러지는 과정을 거치며 오랜 시간을 통해 형성되며, 때론, 구체적인 책의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그래서 우리는 임수식의 사진을 통해 이 시대의 문화를 읽는다.
- 손영주 (한미사진미술관 학예실장)
임수식 LIM SOOSIK
중앙대학교 사진학과, 동대학원 졸업
개인전
2022 [Chaekgado 책가도] Galería Saro León, 스페인
2020 [기록사진-히가시오사까조선학교] 진선갤러리, 서울
2020 [책가도] 류경갤러리, 평창2018 [Babel] 서학동 사진관, 전주2017 [책가도 冊架圖: 정물과초상] 한미사진미술관, 서울2017 [임수식 사진전] 갤러리30, 서울2017 [풍경3부작-Landscape of Desire] 갤러리밈, 서울2016 [전통의울림-책가도] 수원시어린이미술체험관, 수원2014 [Chaekgado 책가도] Galería PazYcomedias, 스페인2014 [책가도] 서울도서관, 서울2014 [책가도] 진선갤러리, 서울2013 [책가도] Gallery D, 홍천2013 [Chaekgado 책가도] Galería Saro León, 스페인2013 [그림+X=? (X=책)] 보름산미술관, 경기2013 [욕망의 기호학] Space CAN Beijing, 중국2010 [책가도 冊架圖] 갤러리 진선, 서울2010 [바벨의 도서관-All and Nothing] 북촌미술관, 서울2009 [Room.K.] SONO FACTORY, 서울2008 [책가도 冊架圖] 갤러리 온, 서울2007 [수필 隨筆] 대안공간 건희, 서울
그룹전 (2008~2022)
2022
[생의찬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21
[마음들의 고임] Gallery RuacH, 서울
외 다수
출판
[기록사진-히가시오사까조선학교] 이구일, 2021[책가도] 카모마일북스, 2016[책가도-초상과정물] 한미사진미술관, 2017
수상2014 1회 수림사진문화상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 북촌미술관 /이랜드문화재단, 서울라이너 쿤체(Reiner Kunze) 박물관, 독일 외 다수